HEAD LINE

윤재상 시의원, 강화 폐교 코로나 집단감염 주민 피해대책 마련 요구

by 이장열 편집인 인천시의회 윤재상 의원이 최근 지역구인 강화를 휩쓸고 간 폐교 코로나19 집단감염에 따른 주민 피해 대책과 실뱀장어 영세어민들을 위한 현실적인 제도 정착 등을 촉구했다. 최근 11일 윤 의원은 ‘인천시의회 제270회 임시회’제1차 본회의 신상발언과 5분 발언에 각각 나서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있는 강화주민들의 생활을 염려하며 대책 마련을 …

Read More »

인천시, 동네이발소 살리기 나선다

by 김성화 기자 인천시는 오는 6월부터 11월까지 침체되어 가는 이용업소 경영 활성화를 위해 찾아가는 1:1 맞춤형 컨설팅 미용 기술교육 및 경영 컨설팅을 지원하는‘이용업소 경영 활성화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관내 이용업소 715개소 중 선착순 모집으로 25개소를 선정해 지원하며, 신청기간은 5월 17일부터 5월 28일까지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업소는 시 위생정책과 또는 군·구 위생부서에 …

Read More »

[2021/05/12/0시] 확진5,859명*(20명:해외0명,지역20명),격리183명(-2명),완치퇴원5,616명(22명),사망60명(-)

[2021/05/12/0시]코로나19인천지수: 확진5,859명*(전일대비 추가 20명:지역감염 20명, 해외유입 0명) 확진5,859명*(20명:해외0명,지역20명),격리183명(-2명),완치퇴원5,616명(22명),사망60명(-) 인천 임시선별검사소(6군데) 누적 확진자: 총 552명(전일대비 추가 2명). [질병관리청]

Read More »

인천시의회, GTX-D Y자 노선 추가 반영 촉구

by 이장열 편집인 인천시의회가 최근 국가철도망계획에서 배제된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D Y자 노선 추가 반영을 축구하고 나섰다. 인천시의회(의장 신은호)는 11일 의회 본관 앞에서 GTX-D노선에 검단과 청라 등을 포함한 Y자 노선의 추가 반영 요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우선 이날 GTX-D Y자 노선 추가 반영 관련 성명서 발표는 국토교통부의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안)에 GTX-D노선이 김포 장기에서 부천종합운동장을 잇는 …

Read More »

[2021/05/11/0시] 확진5,839명*(21명:해외1명,지역20명),격리185명(3명),완치퇴원5,594명(18명),사망60명(-)

[2021/05/11/0시]코로나19인천지수: 확진5,839명*(전일대비 추가 21명:지역감염 20명, 해외유입1명) 확진5,839명*(21명:해외1명,지역20명),격리185명(3명),완치퇴원5,594명(18명),사망60명(-) 인천 임시선별검사소(6군데) 누적 확진자: 총550명(전일대비 추가  2명). [질병관리청]

Read More »

국민의힘 인천시당, “인천시..북한 공항지원 용역결과, 즉각 폐기하라”

by 이장열 편집인 10일 국민의당 인천시당은 성명을 내고, 인천시 북한 공항지원 용역 결과 즉각 폐기를 요구하고 나섰다. 최근 국민의힘 한기호 국회의원은 인천시가 모두 4조4천억 원을 들여 북한의 삼지연 공항 등 3곳을 거점공항으로, 신의주 공항 등 6곳을 일반공항으로 각각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연구용역 보고서를 발주했다고 최근 알려져 파문이 예상된다. 국민의힘 …

Read More »

5월 21일 <유키 구라모토 콘서트>,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by 이장열 편집인 2021년 ‘클래식 시리즈’의 첫 번째 무대로 <유키 구라모토 콘서트>를 5월 21일 인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선보인다고 밝혔다. 1995년 5월 처음 내한한 이후 매년 한국을 방문하며, 지난해 내한 20주년을 맞은 유키 구라모토는 꾸준한 창작활동으로 그가 녹음했거나 연주한 곡은 무려 360여 곡에 이르며, 특히 “Lake Louise”, “Romance”, “Meditation” 등의 히트곡이 널리 …

Read More »

부평구, 10일부터 저소득가구 한시 생계지원 온라인 접수

by 이장열 편집인 10일부터 부평구가 올해 코로나19 지원사업의 혜택을 받지 못한 저소득가구를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한시 생계지원’을 접수받는다. 신청대상은 코로나19로 2019년과 2020년에 비해 올해 소득이 감소한 저소득가구다. 중위소득 75%(4인 가구 365만 원)이하, 재산은 대도시 기준 6억 원 이하 기준에 적합해야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 금액은 가구별 50만 원으로 가구원 수와 상관없이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