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교대 기전문화연구소, ‘부평사직단’ 위치 고증 성과

by 이장열 편집인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는 계양구청과 계양문화원 연구지원으로 조선시대 부평사직단 위치와 경관을 새롭게 고증하였다고 21일 밝혔다.

사직단은 토지 신인 ‘사(社)’와 곡식 신인 ‘직(稷)’을 위한 제사 공간으로 조선시대에는 국가 사직단과는 별개로 전국의 300여 개 모든 지방에 고을 사직단을 조성했다.

기전문화연구소 전종한 소장(인문지리학 교수)은 “‘사’는 다스리는 영토를 상징하고 ‘직’은 백성 삶의 근간이었다는 점에서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직은 곧 국가 그 자체로 인식됐다”며 “그러나 현재는 국가 사직단의 존재에 대해서만 주로 알려져 있을 뿐 300여 개나 되었던 전국 고을 사직단의 경관 원형과 헤리티지로서의 가치 인식은 매우 저조한 형편이다”고 언급했다.

전 소장은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의 고을 사직단이 한반도에서 오백년 이상 가장 신성하고 청결한 장소로 관리된 곳’이라 여기면서 신사(神社) 건립의 최적지로 검토했던 문서 기록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서 전 소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을평 사직단의 위치에 대해서는 잘못된 추정이 있었다는 점을 밝혀졌을 뿐 아니라 국가 사직단과는 구별되는 고을 사직단의 전체적 경관 형태를 고증한 것은 전국에서 부평 사직단이 처음”라며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사)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가 발간하는 《문화역사지리》제32권 제2호에 「조선시대 고을 사직단의 경관 구성과 복원 방향 – 부평 사직단을 중심으로 -」게재됐다.

한편,  ‘전국 고을 사직단의 풍수적 입지 특성’(권선정 교수), ‘영남 지방 고을 사직단의 근현대 복원 사례’(최진성 박사), ‘호남 지방 고을 사직단의 근현대 복원 사례’(조정규 박사)’와 함께 금년 10월말 성과 보고서로 계양구청에 제출될 예정이라고 기전문화연구소는 밝혔다.

About THE BUPYEONG WEEKLY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